GLOBAL PORT 동북아 물류 중심,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선도하겠습니다.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컨테이너 조작장(-操作場)
LCL 화물 즉 1인의 화주가 1개의 컨테이너를 가득히 채룰 수 없는 소량의 화물을 인수하여 컨테이너에 채워 넣거나 내장된 화물을 컨테이너로부터 꺼내는 작업을 하는 장소이다. 즉 수출의 경우에는 CFS에 LCL 화물을 집적(集積) 하고 목적지별로 선별하여 컨테이너 속에 채워 넣는다. 또 수입의 경우에는 CFS에서 혼재되어 있는 화물을 컨테이너 속에서 꺼내어 목적지별로 구분하고 수화인(受貨人)에게 인도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CIQ (Customs Immigration Quarantine)
C는 관세(customs), I는 출입국 심사(immigration), Q는 검역(quarantine)을 뜻하는 말로써, 관세는 수출입 화물이나 수화물 등에 대한 과세나 단속을 담당하고, 출입국 심사는 출국 및 입국자의 여권 심사 등을 담당하며, 검역은 외국에서 전염병이나 해충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시행하는데 국제예방접종증명서(yellow book)를 요구하기도 함.
CIS (Container Inspection Station)
컨테이너화물을 끄집어내어 수량 및 손상의 유무, 밀수 등을 확인하는 창고로 화물검수장이라고 함.
CY operation(container yard operation) 컨테이너 야드 운영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거나 선사와 하주간에 화물을 인도 또는 수도하는 것을 오퍼레이터(operator)라 한다. CY operator는 컨테이너에 대한 모든 계획과 작업 및 보관, 관리 등의 작업을 한다.
Caisson 케이슨
①상자형태로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교량의 기초, 방파제, 안벽 등의 본체 구조물 용으로 사용되며 토사나 사석으로 내부를 채움. ②중량물이므로 제작, 진수, 방법에 따라 공종이나 제작 과정이 다를 수 있고 항만공사에 사용하는 구조물로서의 케이슨 진수 바업을 보면 경사로(slip way), 건선거(dry dock), 부선거(floating dock), 기중기선을 이용한 리프트(lift)방식과 砂上進水方式, 가물막이 방법이 있다.
Chassis 섀시
화물 특히 컨테이너를 싣는 받침대로, 한쪽에는 바퀴가 달려 있고 다른 쪽은 트레일러로 견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ontainer
화물을 단위화(unitization)하여 효율적으로 하역할 수 있고, 반영구적 특성을 갖고 있어 화물 손상을 방지하거나 되풀이해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며, 화물을 다시 적재할 필요없이 운송에 편리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수용용기를 말함.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정의에 따르면 ‘컨테이너란 내구성 및 반복사용에 견딜만한 강도를 갖고 있고, 화물수송을 하나 이상의 수송방식에 연계할 수 있으며 도중에 재차 채워넣음 없이 Door to Door까지 화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된 수송용기’라고 정의하고 있음
Container ISO
ISO 규격의 정의에 따르면 컨테이너란 내구성 및 반복 사용에 견딜 만한 강도를 갖고 있고, 상품수송을 하나 이상의 수송방식에 연계할 수 있으며, 도중에 재차 채워 넣음 없이 상품수송을 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음. 컨테이너는 수요하는 화물의 종류, 주된 수송기관, 구조 재질, 적재량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용적 3㎥이하의 것을 소형, 그 이상을 대형이라고 부름. 컨테이너 수송이 갖고 있는 장점으로서는 하역의 기계화, 포장비 절감, 도난방지 등이 있음. 일단 적입 하면 재조작 없이 Door to Door까지 화물을 수송할 수 있게끔 제작된 컨테이너는 액체화물의 운송을 위한 탱크 컨테이너, 온도 조절을 요구하는 화물 운송용의 냉동 컨테이너를 포함한 Dry 컨테이너 등 여려종류가 있음
Container feeder service 컨테이너 지선(支線) 서비스, 컨테이너 피더서
항구의 컨테이너 시설 미비로 대형 풀컨테이너선이 접안 불가능할 경우 대형선이 기항 가능한 중추항만과 인근 중소형 항만간에 소형 컨테이너선으로 연결하게 되는 이같은 서비스 컨테이너 피더 서비스라 한다. 우리나라도 1978년 10월 부산항이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건설되기 이전까지는 주로 이같은 서비스에 의해 컨테이너화물을 수송했다. 최근 선사가 대형화되면서 정기선사들은 모선을 주요항구에만 기항시키고 나머지 항구의 컨테이너 시설 미비로 대형 풀컨테이너선이 접안 불가능할 경우 대형선이 기항 가능한 중추항만과 인근 중소형 항만간에 소형 컨테이너선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같은 서비스 컨테이너 피더 서비스라 한다. 우리나라도 1978년 10월 부산항이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건설되기 이전까지는 주로 이같은 서비스에 의해 컨테이너화물을 수송했다. 최근 선사가 대형화되면서 정기선사들은 모선을 주요항구에만 기항시키고 나머지 항구는 피더선으로 연결하고 있다.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수송방식에 있어서의 해상수송과 육상수송의 접지로서 항만 앞쪽에 위치하여 본선하역, 하역준비, 화물보관,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화물의 인수 그 밖에 각종 기계의 관리, 보관 등을 다루는 일련의 시설을 갖춘 지역임. 터미널 운영은 선사 자체가 하나의 사업으로 자영 또는 임대운영 경우도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단체의 항만관리자가 직접 운영하는 경우도 있음

QR CODE

오른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현재 페이지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담당자 :
경영지원부 김병재  
전화 :
061-797-4473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새창으로 열립니다.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원저작자를 밝히는 한 해당 저작물을 공유 허용, 정보변경 불가, 상업적으로 이용불가